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UN 기후 정상회의에서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정점 대비 7~10% 줄이고, 풍력·태양광 설비를 2020년 대비 6배 이상 확대하며, 비화석 연료 비중을 30%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후 행동에서 후퇴하는 미국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며 국제 협력을 촉구했으나, 환경 단체들은 중국과 주요국들의 목표가 기후 위기 속도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은 파리협정에서 다시 탈퇴했고, EU·호주·브라질 등은 각기 2035년 목표를 제시했지만, 소국·환경단체들은 더욱 과감한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새 연구에 따르면 인간 활동으로 인해 전 세계 산불철이 평균 40일 연장되며, 전체 산불의 절반 이상이 자연적 발화 시기를 벗어나 발생하고 있다. 농업 소각, 토지 개간, 사고성 발화, 기후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열대 사바나에서 북극 툰드라까지 거의 모든 생태계의 산불 시기를 바꿔 놓았다. 이는 종의 생태 주기와 맞지 않는 시기에 산불이 발생해 회복과 번식에 치명적 위협을 가하며, 앞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사실상 연중 산불 위험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갠지스강(Ganges)은 기후 변화, 불규칙해진 몬순, 지하수 남용, 댐 건설 등 복합적인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기록상 가장 빠른 속도로 마르고 있다. 강 유역에 거주하는 6억 5천만 명의 생존 기반이 위협받고 있으며, 농업용수 고갈과 식량 위기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선 인접국 간 협력, 지속 가능한 물 관리, 생태 흐름 보장 등 전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다.
AI 데이터 센터의 폭발적 증가가 전력, 물, 토지를 잠식하며 기후 위기를 악화시키자, 일부 빌리어네어와 학자들은 이를 우주로 이전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있다. 무제한 태양광과 규제 회피가 장점으로 꼽히지만, 방사선·유지보수 문제와 막대한 비용 때문에 아직은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럼에도 규제가 느슨한 ‘우주 시장’을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관심은 커지고 있어, 미래의 데이터 인프라가 지구 밖에서 펼쳐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환경운동가 빌 맥키벤은 신간 『Here Comes the Sun』에서, 기후위기와 민주주의의 위기 속에서도 태양광과 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가 새로운 문명을 열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중국과 캘리포니아, 텍사스 등에서 재생에너지 확산이 이미 실현되고 있으며, 미국 연방 정부의 반대에도 지역 단위 변화와 9월 21일 ‘선데이(Sun Day)’와 같은 풀뿌리 운동을 통해 에너지 시스템을 전환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맥키벤은 “화석연료로는 전쟁이 시작되지만, 햇빛으로는 불가능하다”며, 태양이 인류에게 문명적 전환의 열쇠를 쥐여주고 있다고 말한다.
85명 이상의 기후 과학자들이 미 에너지부(DOE)의 기후 보고서를 "과학적으로 부정확하고 정책 기반으로 부적합하다"고 평가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해당 보고서는 기후 변화의 위험성을 축소하며 오래전에 반박된 이론과 비과학적 주장들에 의존하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근거로 온실가스 규제를 철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는 수십 년간 축적된 기후 과학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시도이며, 미국의 기후 적응과 국민 안전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고 경고했다.
2025년 여름 유럽에서 발생한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의 약 65%는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런던, 파리, 마드리드 등 12개 도시에서 약 1,500명이 기후변화로 조기 사망했으며, 이는 사망자 수를 3배로 늘린 셈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1.3도 상승만으로도 치명적 피해가 발생한다며, 향후 더 강력한 폭염을 막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 중단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전쟁은 막대한 탄소 배출과 환경 파괴를 유발하며, 군사 충돌은 국제적 기후 협력을 방해하고 에너지 전환을 지연시킨다. 동시에 기후 재난이 늘어나면서 각국 군대는 재난 대응, 인도적 지원 등 비전투 임무에 더 자주 동원되고 있다. 결국 군대는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비와 작전 방식을 바꾸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다.
북미의 기후 위기 대응에서, 원주민과 취약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는 지역 기반 프로젝트들이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J4Climate 같은 국제 지원 프로그램이 이러한 활동을 촉진하지만, 제도적 제약과 정치적 조건은 공동체의 자율성과 목소리를 제한할 수 있다. 진정한 회복력은 단순한 적응을 넘어 구조적 변화를 동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자금뿐 아니라 정치적 의지와 공동체 권리의 실질적 인정이 필요하다.
EU는 물개 제품 금지 조치의 타당성을 검토하면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그린란드(칼랄리트 누나트)의 인디언 공동체는 여론조사에서 제외해 논란을 빚고 있다. 그린란드의 수많은 사냥꾼과 공동체 지도자들은 EU의 공청회가 열렸다는 사실조차 몰랐으며, 이는 사전 정보 공유 부족과 EU의 진정성 결여를 드러낸다. EU가 진정으로 토착 공동체의 인권과 생계를 고려한다면, 아직 보고서가 발표되기 전인 지금, 그린란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즉시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