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캘리포니아와 델라웨어 법무장관의 조건부 승인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동의로, OpenAI는 수익 제한(cap) 구조를 폐지하고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영리기업(Public Benefit Corporation)으로 전환했다. 새로운 구조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거버넌스 장치를 포함하지만, 수조 달러에 이를 수 있었던 비영리의 공공 이익은 민간 투자자들에게 넘어가게 됐다. 이는 AI가 인류에게 이익이 되도록 한다는 원래의 사명보다 투자 수익 극대화가 우선된 결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엘리저 유드코스키와 네이트 소어스는 AI의 인류 멸종 위협을 주장하며 ASI(초지능) 개발을 막아야 한다고 외치지만, 실제로는 인간보다 우월한 '포스트휴먼' 종족 창조를 꿈꾸는 트랜스휴머니스트다. 이들의 책 If Anyone Builds It, Everyone Dies는 인류 보존을 말하는 듯하지만, 실상은 '통제 가능한' ASI를 통해 인간을 대체하려는 반인간적 유토피아를 추구한다. 결국 이들의 주장은 통제되든 아니든 ASI 개발은 인류 종말을 불러올 것이며, 진정한 해결책은 ASI 자체의 영구 금지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10월 15일, 스페이스X가 팰컨9(Falcon 9) 로켓을 이용해 미국 우주개발국(SDA)의 '트렌치 1 수송층(Tranche 1 Transport Layer)'을 구성할 통신위성 21기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번 발사는 총 126기로 구성될 저궤도 위성망 구축의 두 번째 단계로, 전 세계 군사 임무를 위한 암호화 통신 지원이 목적이다. 이 위성들은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이 제작했으며, 발사체의 1단 부스터는 드론선에 무사히 착륙하며 재사용에 성공했다.
10월 11일부터 13일 사이 태양의 AR4246 흑점에서 발생한 4개의 코로나 질량 방출(CME)이 10월 15일부터 17일 사이 지구에 도달할 것으로 예보됐다. 이로 인해 중간(G2) 수준의 지자기 폭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북미 북부와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서 북극광이 관측될 수 있다. CME들이 연달아 도착하면서 효과가 증폭될 수 있어, 며칠간 강력한 우주 기상이 이어질 전망이다.
과학이나 군사, 상업적 목적 외에도 인류는 ‘최초’가 되려는 욕망, 불멸에 대한 갈망, 혹은 단순한 존재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다양한 물건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불교 사원 모형부터 유골, 공룡 뼈, 인공지능 이미지, 심지어는 테슬라 스포츠카까지, 이처럼 기묘한 사물들은 때론 외계 생명체에게 보내는 메시지이자, 미래 우주 공간을 점유하려는 상징적 선언으로 기능한다. 결국 이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우주 활용에 대한 인류의 의지를 드러내는 새로운 형태의 문명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핵융합 발전은 막대한 에너지를 깨끗하고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인공지능(AI)의 도입이 이를 가속하고 있다. 딥마인드와 스위스 연구진은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토카막 플라즈마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고, 미국에서는 AI가 핵융합 불안정을 사전에 예측해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나아가 AI는 시뮬레이션을 가속하고 레이저 설계를 최적화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핵융합 연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있으며, 향후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스페이스X가 9월 24일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팰컨9 로켓을 발사해 NASA의 IMAP(성간 지도 및 가속 탐사선)과 두 개의 우주 기상 관측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렸다. 세 탐사선은 태양-지구 라그랑주 점 1(L1)에 배치되어 태양풍, 우주 방사선, 지구 외기권(지오코로나) 등을 연구하며, 인류가 달·화성으로 나아갈 때 필요한 방사선 경고와 태양 폭풍 조기경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발사는 팰컨9의 올해 120번째 임무로, 과학 연구와 인류의 심우주 탐사 안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러시아의 생물연구위성 Bion-M No. 2가 30일간의 궤도 임무를 마치고 9월 19일 지구로 귀환했다. ‘노아의 방주’라 불린 이 위성은 쥐 75마리, 초파리 1,500마리, 식물 종자, 미생물 등 다양한 생물 샘플을 싣고 우주 방사선과 무중력 환경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귀환 직후 현장 의료 텐트에서 초기 검사가 진행됐으며, 연구는 인간 우주 비행의 생명 유지 기술 개발, 생태계 적응 이해, 방사선 안전 확보, 그리고 생명 기원 가설인 ‘범종설’ 검증까지 포괄한다.
미국 정부가 자폐 아동의 언어 문제 치료에 류코보린(Leucovorin)을 사용할 수 있다고 권고했지만, 현재까지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는 제한적이다. 류코보린은 원래 항암제 보조제로 사용되는 엽산의 활성 형태로, 일부 연구에서 자폐 증상 개선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나, 임상 근거는 아직 불충분하다. 따라서 자폐 치료는 여전히 검증된 근거 기반 접근에 따라 이뤄져야 하며, 성급한 처방 확대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중국 민간 위성업체 창광위성이 자사의 질린-1 위성으로 미국의 정찰 위성 ‘월드뷰 리전’을 근접 촬영하며, 미·중 간 상호 감시 경쟁이 우주 궤도에서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미국의 맥사르가 중국 위성을 고해상도로 촬영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양국은 위성 감시 능력 확대와 군사 우주 전력 강화 속에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위성 촬영 기술이 단순한 과시를 넘어 실시간 감시, 경보 및 반위성 작전의 기반이 될 수 있다며, 우주 분쟁을 막기 위한 명확한 국제 규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