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바트 파트나익(Prabhat Patnaik)]

자본주의의 복지 지출 축소

세계 자본주의의 경제 위기는, 세계화된 금융 자본의 헤게모니로 인해 더 이상 케인스주의적 ‘수요 관리’ 방식으로는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 전 세계적으로 복지 지출을 축소하려는 조직적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고, 이를 통해 확보된 재원을 자본가들에게 이전하거나 군사비 증강에 투입하려는...

[이송희일의 딴생각]

리박스쿨이 문제인가? 김민석 총리도 문제다

6월 24일 국무총리 후보 인사청문회에서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박원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민석 후보를 두둔하다 갑자기 성경 구절을 읽기 시작한 것이다. 아연실색의 풍경. 그곳은 국무총리 청문회이지 교회 집사를 추대하는 자리가 아니다. 정교분리와 헌법 원칙이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국회...

"세종호텔 해고자 입에 재갈"... 세종대 집회 금지 '가처분 신청'에 철회 요구 쏟아져

세종대학교가 학교법인이 100% 지분을 소유한 세종호텔에서 해고된 노동자들의 집회·시위 등을 금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오는 16일 이에 대한 법원의 심문기일을 앞두고, "부당한 가처분 신청의 즉각 철회"를 요구하는 시민사회의 여론이 모아지고 있다.

[크리스 헤지스(Chris Hedges)]

유엔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에 대한 탄압

가자지구에서 벌어진 집단학살의 역사가 기록될 때, 정의와 국제법 준수를 위해 가장 용기 있게 목소리를 낸 인물 중 하나는 바로 오늘날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 대상이 된 유엔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가 될 것이다. 그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자행한 인권 침해를 감시하고 보고하는...

[강내희 칼럼]

‘12일 전쟁’ 중단 이후 이란의 선택

6월 13일 미국을 뒷배로 삼은 이스라엘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이란-이스라엘 전쟁이 12일 만에 중단되었다. 전쟁의 중단은 종전은 물론이고 휴전인 것도 아니다. 지금 전쟁은 상호 적대 행위가 잠시 보류된 상태에 놓여 있을 뿐이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공격이 언제라도 재개될 수 있다고 보...

러시아-아제르바이잔 갈등, 튀르키예-미국이 배후에

러시아-아제르바이잔 관계의 최근 혼란은 튀르키예-미국의 권력 투쟁의 일환일 수 있다. 트럼프는 이 권력 게임에 에르도안과 동의했을 수 있고, 이후 알리예프가 동참했지만 여전히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최근 사태에 대한 아제르바이잔의 과잉 대응에서 그가 “개입하지 않...

[인디&임팩트미디어]

이미지로 만나는 세계: 웨비어워즈와 세계보도사진

수많은 콘텐츠 중 액티비즘으로 분류된 수상작에서 눈에 띄는 2개의 콘텐츠를 소개한다. 웨비어워즈는 가치 있는 개인 활동부터 공익 목적 웹사이트나 상업적인 홍보 콘텐츠까지 모두 아우르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콘텐츠를 다 확인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관심 분야나 주제에...

[마이클 로버츠(Michael Roberts)]

세계 자산 보고서: 상위 1.6%가 부의 절반 소유

부의 피라미드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인구의 단 1.6%, 즉 6천만 명만이 226조 달러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개인 자산의 48.1%에 해당한다. 반대로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는 15억 7천만 명의 성인(전 세계 성인의 약 41%)이 있는데, 이들이 가진 자산은...

[인터링크 위클리]

참세상 인터링크 위클리 (2025.07.11)

파키스탄은 지금 ‘화덕’… 눈 사라진 K2, 낙석이 정상보다 더 위험하다explorers web K2, 브로드피크, 낭가파르밧 등 히말라야 고봉에서 등반가들은 눈 없는 건조한 날씨와 지속적인 낙석이 올해 최대 위험 요소라고 지적했다. 고산지대 캠프는 대부분 바위로 드러났고, 마을 기온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