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부산지부는 지난 12일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을 바꾸는 100만 국민서명운동’, '교육희망대행진' 등 지역운동을 통해 새로운 교육정책을 제안하고, 이를 공론화하는 일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교육희망 대행진으로 지역 여론 모을 것
박덕수 전교조 부산지부장은 “지금 부산은 경쟁과 차별의 교육체제 아래 교육청이 앞장 서서 성적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 결과 '정규교육과정 외 학생의 학습권 선택 조례(안)'는 부결되는 등 교육주체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면서 “교육희망대행진을 통해 지역 여론을 모으고 11월 3일 ‘2013 새로운 교육실현을 위한 국민대회(국민대회)’에 부산의 교육주체들과 참여해 새로운 교육에 대한 지역의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 |
![]() |
교육희망대행진 부산 출발에 참석한 장석웅 전교조 위원장은 “최장 학습노동, 최고 사교육비, 최저 출산율, 최고 자살율 등 이명박 정권이 망쳐놓은 것들 중 교육이 단연 최고”라면서 “교육정책의 전면적인 전환을 촉구하는 교사, 학생, 학부모의 열망을 표출해 100만 서명을 이뤄내는 한편 11월 3일 국민대회를 거쳐 이를 대선후보들에게 전달하자”고 촉구했다.
"서명, 어려운거 아니잖아요"
“교육을 바꾸자니까, 나쁜 거 아니니 그냥 서명했는데…… 제일 시급한게 뭔지는 내용 좀 볼까요?”
교육희망 대행진 첫날, 부산지부 소속 조합원 20여 명은 서면 쥬디스 건물 앞에서 ‘교육을 바꾸는 100만 국민서명운동’을 진행했다.
교육 관련 해결되어야 할 최우선 과제를 묻는 질문에 한참 선전지를 들여다보던 이연주씨는 “‘사교육 부담 절감!’ 이거요. 중학교 1학년, 초등학교 5학년인 아들 둘이 운동을 하는데 돈이 장난 아니게 들어요. 사교육비 부담 좀 줄여줬음 좋겠네요.”라고 답했다.
![]() |
![]() |
분주한 퇴근시간대였지만 서명운동 참여를 촉구하는 선전지를 받아든 시민들은 잠깐씩 걸음을 멈추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망설이는 친구와 실랑이를 벌이다 가던 길을 돌아온 조정남 씨는 “서명은 어려운 거 아니잖아요. 전 꼭 필요한 무상교육이 됐음 좋겠네요.”라며 짧은 소감을 전했다.
“보충수업 폐지합시다! 반값 등록금 실현합시다!”
교복을 입은 청소년들을 본 교사들의 목소리가 커졌다. 수줍게 서명을 마친 이문환 군에게 ‘보충수업 폐지가 와닿아 서명한거죠?’라고 물었다. 답은 예상과 달리 “아니”었다. 올해 고 3인 그는 내년 대학에 진학하면 등록금 부담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반값 등록금 현실화가 절실하다고 했다.
서명지에 이름 석 자를 적는 이들의 마음 하나하나가 읽히는 순간이었다.
![]() |
![]() |
선전지를 나눠주며 시민들과 한참을 이야기하던 김정현 부산 주원초 교사는 “이전의 거리 선전전보다 훨씬 반응이 좋다”며 웃었다. “무슨 내용이냐고 묻는 분들에게 대통령 후보들에게 제안 예정인 교육관련 정책이라고 설명해드리면 두 명 중 한 명 꼴로 서명하러 가더라”며 생생한 반응을 전했다.
이 자리에 함께 참석한 박미자 전교조 수석부위원장도 “이같은 분위기가 전국 250여 개 시군구로 이어진다면 우리의 요구가 엄청난 파급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란 말로 기대를 나타냈다.
부산에서 출발한 교육희망대행진은 11월 3일 국민대회까지 16개 시도 지역별로 진행된다.